반응형
자재와 계획의 핵심, 제대로 알면 낭비를 줄이고 수익을 높인다
제조업의 생산 현장에서는 수많은 부품과 자재, 공정 계획이 얽혀 있습니다. 이 모든 요소를 통합 관리하려면 단순한 엑셀이나 작업지시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BOM(Bill of Materials)과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입니다. 생산관리자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할 핵심 시스템인 BOM과 MRP의 개념, 역할, 차이점, 실무 활용 팁까지 이 글에서 총정리해보겠습니다.
1. BOM (자재명세서)란?
BOM은 Bill of Materials의 약자로, 제품 1개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부품, 원자재, 조립단계 등을 계층적으로 정리한 문서입니다.
항목 | 내용 |
목적 |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구성 명확화 |
형태 | 계층적 구조 (Top-Down 방식) |
구성 | 품목코드, 품명, 수량, 단위, 공급처, 사용위치 등 |
예시 | TV 생산 시: 패널, 케이스, PCB, 나사 등 전체 부품 구성 |
📌 팁: BOM 없이 자재를 발주하거나 생산 계획을 세우는 건, 설계도 없이 건물 짓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MRP (자재소요계획)이란?
MRP는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의 약자로, 생산 계획에 따라 언제, 어떤 자재를, 얼마나 준비해야 하는지를 계산하는 시스템입니다.
MRP의 주요 입력 요소:
- 수요 예측 (주문, 납기, 재고 정보)
- BOM 정보
- 리드타임 (구매 및 생산 소요시간)
결과물:
- 자재발주 일정표 (PO)
- 작업지시서 (WO)
- 자재부족 목록 (Shortage List)
📌 출처: APICS(미국생산재고관리협회), 『MRP II 표준 프레임워크』
3. BOM과 MRP의 차이와 관계
항목 | BOM | MRP |
역할 | 자재 구성 정보 제공 | 자재 소요 시점과 수량 계산 |
성격 | 정적 정보 (설계 기준) | 동적 계획 (수요 반영) |
사용 시점 | 제품 설계, 생산 준비 단계 | 생산 계획, 발주 시점 |
관계 | MRP는 BOM 정보를 기반으로 작동 | BOM 변경 시 MRP 재계산 필요 |
4. BOM의 종류
종류 | 설명 |
엔지니어링 BOM (EBOM) | 설계 관점의 BOM (CAD, PLM 연동) |
제조 BOM (MBOM) | 실제 생산 라인 기준 자재 구성 |
판매 BOM (SBOM) | 고객 주문 기준 묶음 구성 (패키지 상품) |
서비스 BOM | A/S, 유지보수용 부품 목록 |
📌 팁: 같은 제품이라도 EBOM과 MBOM은 부품 수량이나 순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MBOM 기준으로 생산이 이뤄집니다.
5. MRP 활용 시 유의사항
- 리드타임 현실화: 실제 납품 기간 반영 없이 MRP 돌리면 오히려 오류 발생
- 안전재고 설정: 예측 실패 대비 완충재 필요
- 생산 일정과 연계: MES, ERP와 통합해야 실시간 반영 가능
- 재고 기준 정확히 입력: 오차 시 허위 발주 위험 있음
📌 실무 팁: MRP는 ‘자동 계산’이지만 Garbage In, Garbage Out. 정확한 입력값이 핵심입니다.
6. 실제 생산현장 활용 사례
사례 1: 중소 전자부품 업체 A사
- BOM 기반으로 MRP 도입 → 발주 누락 70% 감소
- 불필요 자재 구입 25% 절감
사례 2: 자동차 부품사 B사
- BOM 변경 사항 실시간 반영 체계 구축
- 생산지시부터 출고까지 리드타임 3일 단축
7. BOM/MRP 시스템 연계 가능 툴
시스템 | 기능 | 대표 솔루션 |
ERP | 재무, 자재, 구매, 생산 통합관리 | SAP, 더존 iCube, Oracle NetSuite |
MES | 생산 실행, 설비 모니터링 | WinMES, SmartOne, Cimon MES |
PLM | 설계 데이터 관리, BOM 연동 | Siemens Teamcenter, Windchill |
요약 정리
- BOM은 제품 생산을 위한 부품 구성표, MRP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자재 준비 계획 수립 시스템
- BOM의 정확성과 최신성은 MRP 운영의 기본이며, 두 시스템은 생산성, 납기, 원가 절감에 큰 영향을 미침
- 중소 제조업도 ERP/MES 연동 기반의 BOM-MRP 활용을 통해 낭비를 줄이고 재고 과잉 또는 부족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음
- 리드타임, 안전재고, 품목코드 관리 등 입력 정보의 정확성이 핵심 성공 요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