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작권 없는 음악 사용한 유튜버 실제 고소 사례

by 6story 2025. 4. 24.
반응형

“무료 음악이라고 해서 사용했는데, 갑자기 저작권 침해로 고소당했습니다.” 유튜브·SNS·브이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겪었거나, 걱정해봤을 이야기입니다. ‘저작권 없는 음악’이라는 말만 믿고 사용했다가 오히려 고소·합의금 요청을 받는 사례가 매년 수백 건 이상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작권 없는 음악의 진짜 의미, 사용 시 주의사항, 실제 고소 사례, 유튜브 알고리즘의 음악 인식 방식, 안전한 음원 활용법까지 자세히 안내합니다.


목차

  1. ‘저작권 없는 음악’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2. 유튜버 대상 고소 사례 요약 정리
  3. CC 라이선스, 무료 음악의 진짜 조건
  4. 유튜브 콘텐츠 ID와 자동 탐지 시스템
  5. 고소 후 합의금 규모와 대응 방법
  6. 안전하게 음악 사용하는 실천법

1. ‘저작권 없는 음악’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많은 사람들이 ‘무료 음악’ = 저작권이 없다고 오해합니다. 하지만 ‘저작권 없는 음악’은 다음 중 하나에만 해당됩니다.

  • 저작권이 만료된 공공 도메인 음원 (예: 100년 전 클래식 원곡 등)
  • 제작자가 ‘저작권 포기’를 명시한 Creative Commons 0 (CC0) 라이선스 음악
  • 명확한 라이선스 범위(출처, 상업 이용 여부 등)가 제시된 음원

TIP: 단순히 ‘무료 다운로드 가능’하다고 해서 저작권이 없는 건 아닙니다.


2. 유튜버 대상 고소 사례 요약 정리

연도 채널 유형 음악 출처 결과
2023 브이로그 채널 블로그 무료 음원 링크 100만원 합의금 요청 후 종결
2024 요리 유튜버 유튜브 영상 배경음악 콘텐츠 ID 자동 차단 + 광고 수익 회수
2025 리뷰 채널 무료 사이트 음원 법무법인 고소 + 형사조사 진행 → 기소유예

출처: 한국저작권위원회, 유튜브 저작권 분쟁 리포트 2025.03


3. CC 라이선스, 무료 음악의 진짜 조건

CC(Creative Commons) 라이선스는 무료 사용을 허용하지만, 다음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저작권 침해가 됩니다.

라이선스 유형 상업 이용 변경 가능 출처 표시 필요
CC0 가능 가능 불필요
CC-BY 가능 가능 필요
CC-BY-NC 불가능 가능 필요
CC-BY-SA 가능 동일 라이선스로만 가능 필요

TIP: 유튜브 수익창출 채널은 ‘상업적 이용 가능’ 조건이 필수입니다.

반응형

4. 유튜브 콘텐츠 ID와 자동 탐지 시스템

유튜브는 ‘콘텐츠 ID(Content ID)’라는 시스템으로 음악 저작권을 자동 감지합니다.

✔ 업로드된 음악과 데이터베이스 비교
✔ 일치 시 영상 광고 수익 차단 또는 삭제 경고
✔ 반복 적발 시 채널 수익화 정지, 영상 블라인드 처리

출처: 유튜브 공식 저작권 정책 문서 (support.google.com/youtube)


5. 고소 후 합의금 규모와 대응 방법

합의금은 보통 다음과 같이 책정됩니다.

사용 범위 합의금 범위 대응 팁
1~2회 음악 사용 30만~70만원 초범 강조 + 즉시 삭제 조치
5회 이상 또는 반복 사용 100만~200만원 이상 변호사 상담 + 감경 협상
상업적 광고 포함 300만원 이상 수익금 반환 요구 포함 가능

TIP: 사용 음원이 라이선스 위반 여부가 불명확할 경우, 피해자와의 소통이 우선입니다.


6. 안전하게 음악 사용하는 실천법

✔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음원 사용 (상업적 이용 OK)
✔ ‘CC0’ 표시 있는 사이트에서만 다운로드 (Pixabay Music, FreePD 등)
✔ 상업 목적이라면 반드시 라이선스 확인 후 보관
✔ 블로그, 무료 배포 커뮤니티 음원은 신뢰도 낮음
✔ ‘출처 표시’가 요구되면 영상 설명란에 반드시 표기


요약

‘저작권 없는 음악’이라는 말만 믿고 유튜브에 배경음악으로 사용했다가 고소당하거나 수익 정지를 당한 유튜버들이 적지 않습니다. 실제로 무료라고 소개된 음원 중 상당수는 CC 라이선스 조건을 명확히 지키지 않으면 침해로 간주됩니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선 공식 음원 플랫폼이나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