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드라마, 음악, 교재, PDF… 원하는 자료를 빠르게 찾고 싶을 때 ‘P2P 사이트’ 한 번쯤은 검색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P2P는 토렌트 못지않게 저작권 침해 단속의 주요 타깃이며, 특히 유료회원제, 자료 다운로드 이력, 업로드 기록 등 모든 활동이 추적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P2P 사이트 이름과 함께,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법적 포인트, 실제 고소 사례, 예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 P2P 사이트란? 기본 개념 정리
- 국내 인기 P2P 사이트 리스트
- 저작권 침해 단속이 집중되는 이유
- 실제 단속 및 고소 사례 요약
- 사용 시 주의사항과 법적 책임 범위
- 안전하게 콘텐츠 이용하는 예방법
1. P2P 사이트란? 기본 개념 정리
P2P(Peer to Peer) 사이트는 회원 간 파일을 직접 주고받는 방식의 웹 기반 파일 공유 플랫폼입니다. 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영화·음원·드라마·전자책·강의 등 다양한 콘텐츠 다운로드 가능
✔ 포인트 또는 정액제 기반 과금
✔ 자료 업로드 시 보상 포인트 지급
✔ 사용자끼리 자료 공유 가능 (P2P 서버 거치지 않기도 함)
2. 국내 인기 P2P 사이트 리스트
사이트명 | 특징 | 주의사항 |
위디스크 | 대형자료 중심 | 저작권 집중 단속 대상 |
파일노리 | 성인·영화 위주 | 최근 다수 고소 사례 발생 |
에브리파일 | PDF·전자책 많음 | 업체 폐쇄 후 사용자 추적 지속 |
토렌트킴 | 토렌트 연동형 P2P | 국내외 수사 공조 이력 있음 |
출처: 한국저작권보호원, KISA 불법콘텐츠 탐지 목록 (2025.03 기준)
3. 저작권 침해 단속이 집중되는 이유
P2P 사이트는 다음 이유로 단속 우선순위로 지정되고 있습니다.
✔ 유료 콘텐츠(OTT, 유료 강의 등)의 집중 유통 경로
✔ 회원가입, 결제, 다운로드 기록이 모두 남음
✔ 불법 업로드 파일에 대해 사이트 차원에서 방치
✔ 상업적 수익 창출 구조가 명확
4. 실제 단속 및 고소 사례 요약
연도 | 사용자 유형 | 콘텐츠 | 결과 |
2023 | 30대 직장인 | 성인 콘텐츠 | 150만원 합의금 청구 |
2024 | 대학생 | 해외 교재 PDF | 민사 합의 + 교육기관 통보 |
2025 | 고등학생 | 영화 2편 다운로드 | 부모 명의 고소 → 기소유예 종결 |
출처: 문체부·서울중앙지검 단속사례 요약보고서 (2025.01)
반응형
5. 사용 시 주의사항과 법적 책임 범위
✔ 단순 다운로드도 ‘복제행위’로 간주됨
✔ 다운로드 중 자동 업로드 기능 작동 가능성 있음
✔ 유료회원제라도 콘텐츠 합법성 보장 안 됨
✔ 검색어·파일명·게시글 설명 등으로 고의성 판단
책임 유형 | 설명 |
단순 다운로드 | 복제에 해당, 민사책임 가능 |
업로드 | 전송·배포 행위로 형사처벌 대상 |
포인트 거래 | 상업적 이용 간주 가능성 있음 |
홍보 게시물 작성 | 간접 침해 기여자로 판단 가능 |
6. 안전하게 콘텐츠 이용하는 예방법
✔ 공공기관 또는 합법 OTT 서비스 이용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
✔ 공용자료는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 기반 콘텐츠 활용
✔ PDF나 전자책은 출판사 공식 플랫폼 이용
✔ P2P 사이트 내 ‘출처 불분명’ 콘텐츠 피하기
✔ 설치된 클라이언트 삭제 + 다운로드 기록 정리
TIP: 이용 기록은 서버에 저장되므로 ‘삭제’만으로 흔적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이용 자체를 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요약
P2P 사이트는 콘텐츠 접근성이 높지만, 동시에 가장 집중적인 저작권 침해 단속 대상입니다. 실제로 파일노리, 위디스크, 에브리파일 등은 사용자의 다운로드·업로드 기록을 근거로 민형사 고소가 이뤄졌습니다. 단순 이용이라도 처벌 가능성이 있으며, 상업적 구조나 고의성이 인정되면 처벌 수위는 더 올라갑니다. 합법 경로 이용만이 최선의 보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