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외 프로그램 크랙 설치 후 고소당한 사례 분석

by 6story 2025. 4. 27.
반응형

프리미어 프로, 포토샵, 윈도우, MS오피스, 오토캐드… 고가의 해외 유료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사용하고 싶어 크랙(Crack)이나 키젠(Keygen), 불법 시리얼 넘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를 믿고 설치했다가, 수개월 뒤 고소나 합의 요청을 받는 사례가 실제로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프로그램 크랙 설치 시 법적 책임, 실제 고소 사례, 합의금 수준, 추적 방식, 예방법까지 상세히 정리합니다.


목차

  1. 크랙 프로그램, 왜 위법인가?
  2. 실제 고소 사례 요약 정리
  3. 크랙 추적 방식과 적발 경로
  4. 합의금 규모와 결정 기준
  5. 초범과 미성년자의 경우
  6. 정품 대신 활용 가능한 대안 소개

1. 크랙 프로그램, 왜 위법인가?

‘크랙’은 소프트웨어의 정품 인증이나 보안장치를 우회해 무단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말하며, 다음 법률 위반에 해당합니다.

  • 저작권법 제125조: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
  •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복제 및 무단 사용 금지
  • 형법상 업무방해·사기죄 적용 가능

TIP: 단순 ‘개인용’이라도 위법은 성립하며, 적발 시 민사+형사 함께 진행될 수 있습니다.


2. 실제 고소 사례 요약 정리

연도 프로그램 사용 환경 결과
2023 어도비 프리미어 유튜버 편집용 민사 합의금 200만원
2024 오토캐드 대학생 과제용 기소유예, 단 불법 소프트 삭제 및 사과문 제출
2025 포토샵 블로그 이미지 제작 형사 입건 + 300만원 합의 후 종결

출처: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SPC), 2025년 상반기 민원사례집


3. 크랙 추적 방식과 적발 경로

방식 설명
원격 인증 로그 프로그램 실행 시 서버 통신 기록 확인
사용 PC IP 추적 배포사이트 IP-사용자 IP 일치 시 법적 추적 가능
교육기관·회사 단속 라이선스 등록 없는 설치 흔적 자동 감지
커뮤니티·블로그 게시 사용 후기, 설치 인증샷 등을 근거로 고소 진행

TIP: 특히 어도비(Adobe), 오토데스크(Autodesk) 등은 자동 라이선스 검사 기능이 내장돼 있어 비정상 사용이 쉽게 적발됩니다.

반응형

4. 합의금 규모와 결정 기준

합의금은 다음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준 금액 범위
1회 설치 + 비상업적 사용 50만~150만원
블로그, 유튜브 등 수익 목적 사용 200만~400만원
회사·단체 내 사용 500만원 이상 + 별도 손해배상 청구 가능

출처: 대한변호사협회 ‘저작권 합의사례 분석’ (2025.03)


5. 초범과 미성년자의 경우

초범이라면 형사처벌보다는 기소유예 또는 합의 종결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다음 요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상업적 목적 또는 반복 사용 이력
✔ 크랙 배포·추천 게시물 작성
✔ 학교·기관 IP 사용 흔적 존재
✔ 삭제 요청 이후 무대응

미성년자의 경우:

  • 보호자에게 민사 책임이 전가될 수 있음
  • 형사 처벌은 면하더라도 민사 합의금 청구 가능

6. 정품 대신 활용 가능한 대안 소개

✔ 어도비 대체: Photopea (웹 기반 무료 포토샵 유사툴)
✔ 오피스 대체: 구글 문서, LibreOffice 등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
✔ 오토캐드 대체: DraftSight, FreeCAD (기능 일부 무료)
✔ 영상편집툴 대체: DaVinci Resolve 무료 버전

TIP: 대부분의 대안은 개인 사용자에겐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며, 공식 라이선스 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

해외 프로그램을 크랙으로 설치해 사용할 경우, 단순 다운로드만으로도 저작권 및 기술보호 위반으로 고소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익 목적 사용,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는 합의금도 수백만 원에 이를 수 있습니다. 추적이 어렵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서버 로그, IP 매칭, 커뮤니티 게시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발되고 있습니다. 정품 사용 또는 무료 대체툴 활용이 가장 안전한 대응책입니다.

728x90
반응형